재미있는 북한말 남한말 차이, 단어 사전
"색시가 예쁘네" 라는 말, 낯설게 느껴지시나요?
하지만 북한에서는 자연스러운 말이라고 해요.
우리가 '신부'라고 부르는 단어를
북한에서는 '색시'라고 하기 때문이에요.
같은 말을 두고도
북한과 남한은 이렇게 다르게 표현하고 있어요.
굉장히 흥미롭고 재미있지 않나요?

그래서 제가 카드뉴스로
북한과 남한이 같은 뜻을
다르게 말하는 단어들을 정리해 보았어요.
하나하나 살펴보다 보면
"이 말이 북한말이었다고?" 라며
놀라는 단어도 있을 겁니다.
그럼 지금부터 같이 보실까요?
재미있는 북한말 남한말 단어 비교
왼: 우리말 우: 북한말

눈초리 vs 눈귀
다리 vs 달비
딸꾹질 vs 피꺽질

모노드라마 vs 독연극
연애결혼 vs 맞혼인
카스테라 vs 설기과자

헤드라이트 vs 앞등
스위치 vs 전기여닫기
기성복 vs 지은옷

터널 vs 차굴
커튼vs 창가림
계모 vs 후어머니

어설프다 vs 헤든거리다
접질리다 vs 풀치다
애처롭다 vs 아츠럽다

상투 vs 자부니
눈부시다 vs 서물거리다
많이 vs 수태

아직 vs 상게
사내답다 vs 사내싸다
장인 vs 가시아버지

시어머니 vs 아고
충분하다 vs 그쯔하다
거르다 vs 번지다

다이얼 vs 눈금판
원피스 vs 달린옷
합병증 vs 따라난병
북한말은 남한말에 비해
순우리말 같은 느낌이 더 강하게 들지 않나요?
무슨 뜻일지 고민하게 만드는 외래어나 신조어 대신
더 직관적이고 쉬운 표현이 많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인지 말의 결이 다르면서도
어딘가 친근하게 느껴집니다.
지금까지 여러 개 단어들을 함께 살펴봤는데요.
어떤가요? 생각보다 훨씬 흥미롭지 않으셨나요?
단어 하나만 봤을 뿐인데도
북한 사람들의 말투나
그들의 일상이 어렴풋이 떠오르는 것 같아요.
우리가 같은 말을 다르게 쓰게 된 건
분단 이후 쌓인 시간 때문이겠죠.
그렇지만 그런 시간의 틈 사이로
분명 공통점도 느껴져요.
서로 다른 환경에서 살아왔지만,
결국 뿌리는 같다는 걸 말이에요.
그래서 이런 단어들을 배우는 과정은
단순히 어휘를 익히는 걸 넘어,
남북이 다시 가까워질 수 있는
작은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언젠가 이 단어들이 하나로 다시 이어질 날을, 조심스레 떠올려봅니다.
출처1: http://sharing.net/post/344
남북한 언어 비교 > 북한 알아가기 - 사단법인 남북나눔
남북나눔은 민족의 화해와 평화통일의 선교사명을위해 설립한 대한민국 최초의 대북지원 민간단체입니다.
sharing.net
출처2: https://unikorea21.com/?p=4524
'대외활동 > 2025 인천통일+센터 청년서포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유를 향한 경례' 탈북민 조종사 이철수 대위 이야기 (0) | 2025.03.31 |
---|---|
인천 아이와 가볼만한곳 인천통일관 - 북한 사회 교육 체험 추천 (1) | 2025.03.29 |
2025 인천통일+센터 청년서포터스 '인플리언서' 발대식 후기 (0) | 2025.03.27 |
댓글